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학습 자동 중단
- MRC
- 경제신문스크랩
- 면접왕이형
- k겹 교차검증
- 코틀린
- 딥페이크
- 안드로이드 구조
- 예측선
- 보이스피싱
- 경사하강법
- 과적합
- 밑시딥2
- gradiant descent
- 밑시딥
- GPT-3
- 독서 #독서후기 #피로사회 #행동과잉 #긍정과잉
- 면접왕 이형
- 베스트 모델
- ESG
- 선형회귀
- ESG 채권
- andoriod with kotlin
- 로지스틱 회귀법
- 모두의 딥러닝
- 안드로이드
- nlp
-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 다중분류
- 뉴로 심볼릭
- Today
- Total
목록Study (45)
Practice makes perfect!
1. xml html과 sgml의 단점을 보완한 특수목적 마크업 언어 2. wsdl 웹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가 기술된 xml 형식의 언어 3. 데이터 마이닝 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 안에서 통계적 규칙이나 데이터 간의 관계, 패턴을 찾아 의미있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 4. 인스펙션 원시 코드등의 저작자 외의 다른 전문가 또는 팀이 오류를 찾는 공식적 검토기법 5. 워크스루 회의 전 검토 자료를 배포하고 짧은 시간동안 오류를 검출하는 비공식적 기법 6. ESB 서로 다른 플랫폼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중심의 통합을 지향하는 연계 기술 7. 정규화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이상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무손실 분해하는 데이터 모델링 기법 8. 티어 드롭 IP 패킷 재조합..
* 모델 정의 #딥러닝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케라스 함수 호출 from tensorflow.keras.models import Sequential from tensorflow.keras.layers import Dense #필요한 라이브러리 불러옴 import numpy as np import tensorflow as tf #실행할 때 마다 같은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설정 np.random.seed(3) tf.random.set_seed(3) #준비된 수술 환자 데이터 불러옴 Data_set = np.loadtxt("../dataset/ThoraricSurgery.csv",delimiter=",") #환자의 기록과 수술 결과를 X와 Y로 구분하여 저장 X = Data_set[:,0:17] Y = Data..
# 헤드라인 '대출 중개' 네이버, 금융사처럼 규제 받는다 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9&aid=0004778982 # 본문 핀테크도 금융소비자법 적용 부적합 상품 고객에 통보해야 위반땐 수입 50%까지 과징금 ◆ 빅테크 금융 규제 ◆ 네이버 금융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담당하는 네이버파이낸셜이 금융소비자보호법 규제 대상이 된다. 이에 따라 네이버파이낸셜은 대출 상품을 팔 때 소비자 정보를 파악해 적합한 상품을 권유하고, 부적합한 상품에 가입할 때 그 사실을 알려줘야 한다. 이를 위반하면 수입의 최대 50%를 과징금으로 내야 한다. 금융사와의 제휴 등 '우회전략'으로 금융업에 진출하던 네이버가 금융소비자보호법 규제 대상에 들어온 것은 이번..
퍼셉트론(perceptron) : 신경망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기본 단위 1. 가중치, 가중합, 바이어스, 활성화 함수 가중치 w (weight) 가중합 (weighted sum) 바이어스 (bias) 활성화 함수 (activation function) - ex) 시그모이드 함수 2. XOR 문제 AND와 OR 게이트와 달리 XOR 게이트는 선을 그어 결과값이 1인 값을 구별할 수 없다. 10여 년이 지난 후에야 이 문제를 해결한 개념이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이다. 3. 다층 퍼셉트론 XOR 문제의 해결책은 종이를 휘어 주는 것이다. 즉, 좌표 평면 자체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은닉층(hidden layer)을 만들어 공간을 왜곡하고 두 개의 퍼셉트론을 한 번에..
1. 로지스틱 회귀의 정의 합격, 불합격과 같이 참(1)과 거짓(0)값을 갖는 점들의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선을 긋는 작업이다. 1과 0 사이의 값이 없으므로 직선으로 그리기 어렵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S자 형태로 그려진다. 2. 시그모이드 함수 시그모이드 함수는 y값이 0과 1 사이이다. 이 식에서 a는 그래프의 경사도를, b는 그래프의 좌우 이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a와 b의 값에 따라 오차가 변한다. a값에 따라 변화하는 오차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a 값이 작을 때는 0 또는 1의 값을 아예 나타내지 않는 직선이 된다. 따라서 오차가 무한대로 증가한다. 하지만 a 값이 크다고 해서 오차가 사라지지는 않는다. b값이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 오차는 위와 같이 이차함수 그래프와 유사한 형..
1. 경사 하강법의 개요 3장에서 기울기 a에 따라 오차 값이 크거나 작아지는 것을 알았다. 기울기 a와 오차의 관계를 그리면 2차함수 그래프로 그릴 수 있는데, 이때 오차가 최소가 되는 값을 찾아야한다. 이때 미분 기울기를 이용해 오차가 가장 작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경사 하강법(Gradiant Descent)라 한다. 2차 함수에서 기울기가 0인(x축과 평행한) 점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위 그림에서 a=m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즉 경사 하강법은 미분 값이 0인 지점을 찾는 것이다. 임의의 점 a1에서 미분하여 기울기 구함 구해진 기울기의 반대 방향으로 얼마간 이동시킨 a2에서 미분하여 기울기 구함 미분 값이 0이 될 때 까지 왔다갔다하며 반복 2. 학습률 2번 과정에서 적절한 이동 거리를 정해..
# 헤드라인 "금융상품도 실험한다니…토스는 다르네" 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9&aid=0004773736 # 본문 광주銀 '토스 공부' 가보니 송종욱 행장이 직접 제안 행원·과장 등 8명 강연들어 "개발 시간 단축방법" 묻자 토스 "실험 거쳐야만 성공" 데이터 활용한 상품기획서 업무 방식·조직문화 공유 "은행은 완성도 높은 상품을 시장에 출시하고 싶어하지 우선 상품을 내놓고 실험하는 경우는 없어요."(광주은행 직원) "왜요? 신상품 100개 중 1개 성공하기도 어려워요. 최소 비용으로 가설을 검증할 수 있게 상품을 만들면 1~2주면 충분합니다."(김유리 비바리퍼블리카 경영기획총괄) 행원부터 과장까지 광주은행 직원 8명이 2일 서울 강..
딥러닝은 작은 통계의 결과들이 무수히 얽혀 이루어지는 복잡한 연산의 결정체이다. 딥러닝을 이해하기 위해 말단에서 이뤄지는 가장 기본적인 두 가지 계산원리인 선형 회귀와 로지스틱 회귀를 알아야한다. 1. 선형 회귀 (linear regression) : '가장 훌륭한 예측선 긋기'라는 통계학 용어 '학생들의 중간고사 성적이 [ ]에 따라 다르다' [ ] = '정보' = x (독립 변수), 성적 = y (종속 변수, x값에 따라 변함) → 선형 회귀란 독립변수 x를 사용해 종속 변수 y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작업을 말함. 단순 선형 회귀(simple linear regression) : 하나의 x 값만으로 y 값을 설명 다중 선형 회귀(multiple linear regression) : x 값이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