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ctice makes perfect!

Week 12 (7) Linking MRC and Retrieval 본문

Study/AI Tech

Week 12 (7) Linking MRC and Retrieval

na0dev 2021. 10. 20. 11:48

1. Introduction to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ODQA)

  • MRC : 지문이 주어진 상황에서 질의응답
  • ODQA : 지문이 따로 주어지지 않고 방대한 World Knowledge에 기반해서 질의응답 -> 봐야하는 문서의 크기가 매우 큼   ex) 서치 엔진 : 연관 문서 뿐만 아니라 질의 답을 같이 제공함.

1) History of ODQA

Text retrieval conference (TREC) – QA Tracks (1999-2007) : 연관문서만 반환하는 information retrieval (IR)에서 더 나아가서, short answer with support 형태가 목표 (답을 갖고있는 문서를 같이 되돌려주는 형태)

 

1) Question processing  +  2) Passage retrieval   +  3) Answer processing

 

  • Question processing : 질문으로부터 키워드를 선택해 Answer type selection (답변의 형태를 설정) -> 어떻게하면 질문을 잘 이해할 수 있을지. 
  • Passage retrieval : 기존의 IR 방법을 활용해 연관된 문서를 뽑고, 문서가 너무 길기 때문에 passage 단위로 자른 후 선별 (Named entity / Passage 내 question 단어의 개수 등과 같은 hand-crafted features 활용) -> 현재의 방법론과 유사. 
  • Answer processing : Hand-crafted features와 heuristic을 활용해 classifier를 만들고, 주어진 question과 선별된 passage들 내에서 답을 선택 -> 최근에는 passage 선별 뿐만 아니라 passage 내에서 어떤 span이 답변이 되는지를 맞추는 것으로 진화됨.

2. Retriever-Reader Approach

1) Retriever-Reader 접근 방식

  • Retriever :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있는 문서를 검색(search) 함
    • 입력 : document corpus, query
    • 출력 : 관련성 높은 문서
  • Reader : 검색된 문서에서 MRC 모델을 이용해 질문에 해당하는 답을 찾아냄
    • 입력 : retrieved 된 문서, query
    • 출력 : 답변

2) 학습 단계

Retriever 

  • TF-IDF, BM25 -> labeled된 데이터를 통한 학습은 없고, self supervised 형태로 학습
  • Dense : QA 데이터셋을 활용해 학습

Reader

  • SQuAD와 같은 MRC 데이터셋으로 학습
  • 학습 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해 Distanct supervision 활용

3) Distant supervision

질문-답변만 있는 데이터셋 (CuratedTREC, WebQuestions, WikiMovies -> 답변이 어디에 존재하는 지는 모름)에서 MRC 학습 데이터 만들기. Supporting document가 필요함

  1. 위키피디아에서 Retriever를 이용해 관련성 높은 문서를 검색
  2. 너무 짧거나 긴 문서, 질문의 고유명사를 포함하지 않는 등 부적합한 문서 제거
  3. answer가 exact match로 들어있지 않은 문서 제거
  4. 남은 문서 중에 질문과 (사용 단어 기준) 연관성이 가장 높은 단락을 supporting evidence로
    사용함

4) Inference

  • Retriever가 질문과 가장 관련성 높은 n개 문서 출력
  • Reader는 n개 문서를 읽고 답변 예측
  • Reader가 예측한 답변 중 가장 score가 높은 것을 최종 답으로 사용함

3. Issues and Recent Approaches

1) Different granularities of text at indexing time

  • 위키피디아에서 각 Passage의 단위를 문서, 단락, 또는 문장으로 정의할지 정해야 함.
    • Article : 5.08 million
    • Paragraph : 29.5 million
    • Sentence : 75.9 million

Retriever 단계에서 몇개 (top-k)의 문서를 넘길지 정해야 함
Granularity에 따라 k 가 다를 수 밖에 없음
(e.g. article -> k=5, paragraph -> k=29, sentence -> k=78)

2) Single-passage training vs Multi-passage training

  • Single-passage : 현재 우리는 k 개의 passage들을 reader가 각각 확인하고 특정 answer span에 대한 예측 점수를 나타냄. 그리고 이 중 가장 높은 점수를 가진 answer span 을 고르도록 함
    ⇒ 이 경우 각 retrieved passages 들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라고 볼 수 없음
    ⇒ 따로 reader 모델이 보는 게 아니라 전체를 한번에 보면 어떨까?
  • Multi-passage : retrieved passages 전체를 하나의 passage 로 취급하고, reader 모델이 그
    안에서 answer span 하나를 찾도록 함
    Cons : 문서가 너무 길어지므로 GPU에 더 많은 메모리를 할당해야함 & 처리해야하는 연산량이
    많아짐

3) Importance of each passage

Retriever 모델에서 추출된 top-k passage들의 retrieval score를 reader 모델에 전달

-> 최종 answer를 고를 때 passage retrieval score까지 합했을 때 성능이 잘 나오는 경우도 연구가 되었음

반응형
Comments